관악산삼성산

관악산 산행(BTS화양연화공원 ~ 제3왕관바위봉 ~ 연주대 ~ 관악사 ~ 암반계곡)

두나K 2023. 3. 21. 22:11

이번 관악산 산행은 서울대학교 지진관측소 관악산 들머리(10:30)에서 시작하여 BTS화양연화공원(옛 폐수영장) - 중앙계곡 - 제3왕관바위능선 - 제3왕관바위봉(11:50) - 자운암능선(자운암국기대) - 연주대(12:55) - 연주암 계단길 - 관악사 - 관악사길 - 관악문아래사거리(14:00) - 암반계곡 - 저수지(15:15)로 다녀왔다.

 

관악산의 주봉인 연주봉

산행경로(산행기록기 기준 거리 : 5.0km)

서울대학교 지진관측소 옆 관악산 들머리로 진입하여 BTS화양연화공원(옛 폐수영장)을 둘러보고 중앙계곡으로 올라간다.

BTS화양연화 공원

2015년 폐수영장이 있었을 때 BTS의 화양연화 뮤비 촬영지로 폐수영장의 한쪽 벽면만 남아있다.

중앙계곡 등산로

산객이 다니지 않아 중간에 등산로가 보이지 않아 대충하여 진행방향 우측의 자운암능선으로 오른다.

 

나무에 표식이 있어 이 곳이 제3왕관바위능선 들머리 인지도 모르겠다. 

표식에서 약10분 정도 더 올라서 아래 기암을 지나 수풀을 헤치며 제3왕관바위능선으로 오른다. 

오름길의 기암

어느정도 오르니 등산로로 접하여 등산로를 따라 제3왕관바위봉까지 올라간다.

진행해야 할 암릉

제3왕관바위능선의 기암 뒤에 수영장능선과 전차바위도 보인다.

우측옆의 제5공용기지국능선 방향

기암

진행해야 할 암릉

기암

제3왕관바위봉 쉼터 - 좌측의 소나무쪽에서 올라 왔다.

제3왕관 바위봉

제3왕관바위봉에서 본 정상부

자운암능선을 따라 연주봉으로 오른다.

자운암능선의 거북 바위

원숭이 바위

자운암국기대 방향

사슴문양 바위

삼성산 방향

소나무

야구글러브 바위

돌아 본 자운암국기대와 암장

사당능선 방향

과천 방향

자운암능선-수영장능선 방향

연주봉에서 본 기상관측소 방향

마애얼굴

계단길을 따라 관악사로 진행한다.

포토존에서 본 연주대 방향

관악사

청산당대사 사리부도

관악사길 사당방향으로 가다가 관악문아래사거리에서 암반계곡으로 진행한다.

나무관셰음보살

관악사길 쉼터에서 본 정상부 방향

연주대(응진전-용마암-기암)

관악문아래사거리에서 암반계곡을 따라 내려가 저수지를 지나 산행을 마친다.

암반계곡의 쌍룡폭포

이 곳은 항상 얼음이 빨리 얼고 늦게까지 남아 있다.

암반계곡

암반계곡의 양서류 알 무리

짱구머리 바위

저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