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산삼성산

관악산 산행(하마바위능선 ~ 사당능선 ~ 연주봉 ~ 학바위능선)

두나K 2023. 4. 25. 23:10

이번 관악산 산행은 낙성대공원(09:40)에서 시작하여 서울과학전시관 방향의 호암교수회관 옆 관악산 들머리 - K1/호암생활관(위) - K2/천지약수 - 서울대학교 연구단지 관악산들머리(10:10) - 하마바위능선 - 하마바위(11:05)를 지나 사당능선 연주대 방향으로 진행하여 신선대 - 지도바위봉(관악문) - 솔봉 - 연주봉(12:55) - 연주암 계단길 - 연주암 헬기장 - 제3깔딱고개(13:25) - 도림천계곡으로 내려가다가 곰바위능선 하단과 도림천계곡이 만나는 지점(13:40)에서 등산로가 중간에 없어지는 학바위능선 방향의 계곡으로 진입하여 삿갓승군바위 암릉군 아래쪽(14:15)으로 학바위능선과 합류되어 학바위까지 내려간 후 관악산 허리길 K39/학바위능선2(내림길 시간15:15)에서 중계소 계곡 방향으로 내려가 중계소 계곡 - 무너미고개(15:50) - 무너미계곡 - 제4야영장 - 도림천 - K28/아카시아동산 - 서울대학교 대기환경관측소 옆(16:25)으로 나와 산행을 마쳤다.

산행내내 가랑비가 내리다 그치다를 반복 하였다.

지도바위봉의 관악문

산행경로(산행기록기 기준 거리 : 9.5km)

낙성대공원의 강감찬 장군상

낙성대공원에서 서울과학전시관 방향으로 가다가 서울과학전시관 담을 따라  좌회전하여 낙성대 터널 방향 진행하여 호암교수회관 옆의 관악산 들머리로 진입한다.

우측 울타리의 문이 관악산 들머리

등산로를 따라올라 K1/호암생활관(위)와 K2/천지약수를 지나 서울대학교 연구단지 관악산 들머리로 진행하여 하마바위능선을 오른다.

서울대학교 연구단지(관악산 들머리 에서)

하마바위능선의 기암군

기암

하마바위로 올라와 사당능선의 연주대 방향으로 진행한다.

사당능선의 하마바위

악어 바위

팬더곰 바위

와근석

붕어 바위

마당 바위

해태 바위

 

파이프능선 방향

소나무

자하능선과 신선대 방향

신선대

신선대에서 본 연주대 방향

신선대에서 본 과천 방향

지도 바위

지도바위봉의 오뚝이 바위

코끼리 바위

관악산 정상부

솔봉

연주대 암릉 계단길에서 본 자운암능선-수영장능선 방향

연주대 암릉 계단길에서 본 사당능선

연주봉에서 본 기상관측소 방향

연주봉에서 본 자하능선 방향

관악산의 주봉인 연주봉

연주암 계단길로 내려가다 연주암 헬기장 - 제3깔딱고개를 지나 도림천 계곡으로 진행한다.

 

포토존에서 본 연주대 방향 

곰바위능선 하단부와 접하는 지점에서 등산로도 없는 학바위능선 방향의 계곡을 따라서 올라 삿갓승군바위 암릉군 아래쪽으로 학바위능선과 접하여 학바위까지 내려간다.

계곡의 암릉  

삿갓승군바위 암릉군 아래쪽의 기암

이 기암 아래쪽으로 올라왔다.

학바위능선에서 본 팔봉능선 방향

자운암능선 방향

부부 바위

학바위 국기대

삼성산 방향

돌탑과 학바위 방향

학바위

맹구 바위

기암

다시 뒤 돌아가 K39/학바위능선2 이정표에서 관악산 허리길의 반대쪽인 중계소계곡 방향으로 내려가 중계소계곡을 지나 무너미고개를 넘어 무너미계곡으로 따라 제4야영장으로 진행한다.

학바위능선-중계소계곡 연결로에서 본 학바위 암릉군

학바위능선-중계소계곡 연결로에서 본 학바위 아래쪽 학바위능선의 암릉

팔봉능선의 2-1봉 방향

중계소계곡의 올챙이

혹자는 중계소계곡을 삼성천 발원지계곡으로 부르고 있다.

제4야영장을 지나 도림천을 따라 내려가다 아래 다리 건너 K28/아카시아동산 이정표에서 서울대학교 교내 진입로로 올라가 대기환경관측소 옆으로 나가 산행을 마친다.